자주하는질문(Q&A)

자주하는질문(Q&A)

수도권 청약 경쟁률, 지방의 10배 넘어…계속되는 ‘서울 불패’

페이지 정보

작성자 dodo
작성일25-06-09 11:25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경기 침체와 부동산 시장 불황 속에서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다.

수도권 아파트는 매매가가 지속적인 오름세를 보이고 신규 청약 단지도 주목받는 반면, 지방 아파트는 청약 경쟁률 약화와 미분양 등으로 고전하는 모양새다.

9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올해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1.0%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수도권은 1.0%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지방은 2.0% 하락해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뚜렷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지난달 셋째 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3% 상승하며 16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강남·서초·송파·용산 등 핵심 입지에 재건축 기대감이 더해지면서 상승폭이 전주(0.10%)보다 확대됐다.

반면 지방 아파트값은 같은 기간 0.04% 하락하며 낙폭을 키웠다.

경기광주역 드림시티
청약시장에서도 수도권과 지방의 온도차는 극명하다.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 분석에 따르면, 2024년~2025년 1분기 전국 분양단지 308개 중 지방 물량이 165개(53.6%)를 차지했음에도 수도권 평균 1순위 청약 경쟁률은 71.4대 1인 반면 지방은 7.0대 1에 그쳤다.

수도권 경쟁률이 지방의 10배 이상이라는 수치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서울권에 집중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달에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사상 최초로 13억을 돌파했다.

KB부동산 월간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4월 13억 2965만원으로 첫 13억원을 돌파한 데 이어 5월 기준 13억4543만 원으로 한 달 새 1.19% 추가 상승했다.

경기광주역 드림시티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5억2543만원, 수도권은 7억718만원으로 나타났다.

지방 시장은 공급 과잉과 수요 위축이 맞물린 ‘이중고’를 겪고 있다.

국토교통부 3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준공 후 미분양(악성 미분양)은 전국 2만5117가구인데 이중 81.8%가 지방(2만543가구)에 몰려 있는 상태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지방 시장 리스크가 커질수록 서울 분양 단지의 안전자산 가치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면서 “서울의 신규 공급 물량이 한정돼 있는 만큼 ‘지금이 기회’라는 수요자 인식도 커지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